8월 4주차 주간키워드 순위

순위 키워드 순위 키워드 순위 키워드 순위 키워드 순위 키워드
1 금리 21 공급망 41 암호화폐 61 국제원유가격 81 인건비
2 코로나19 22 재판매 42 세금 62 소비자물가 82 해외주식
3 기준금리 23 청약 43 NFT 63 공매도 83 분양가
4 전기차 24 모빌리티 44 빅데이터 64 일자리 84 신재생에너지
5 대출 25 바이오 45 집중호우 65 IRA 85 합계출산율
6 부동산 26 원자재 46 벤처기업 66 MOU 86 소비자물가지수
7 인플레이션 27 업무협약 47 통화정책 67 팬데믹 87 전월세
8 원달러환율 28 기업공개 48 지배구조 68 트위터 88 금융기관
9 에너지 29 소비자물가상승률 49 금융위기 69 고용 89 수요예측
10 예대금리차 30 종합부동산세 50 가상자산 70 중앙은행 90 공동주택
11 배터리 31 메타버스 51 비트코인 71 배달 91 정기예금
12 상장지수펀드 32 태양광 52 OLED 72 취약계층 92 변동금리
13 ESG 33 치료제 53 무역수지 73 이해관계자 93 휘발유
14 친환경 34 재건축 54 GDP 74 클라우드 94 경제성장률
15 스타트업 35 인공지능 55 백신 75 데이터센터 95 신용카드
16 중소기업 36 마스터플랜 56 액화천연가스 76 블록체인 96 연료전지
17 선물세트 37 외환시장 57 코픽스 77 자율주행 97 연방공개시장위원회
18 소상공인 38 전통시장 58 탄소중립 78 신용대출 98 레버리지
19 대형마트 39 주택담보대출 59 리볼빙 79 개인투자자 99 나스닥
20 금리인상 40 경기침체 60 플라스틱 80 온라인쇼핑몰 100 엑스포

 

출처: 통계청 빅데이터활용(Nowcast)

8월 4주차 키워드로 보는 뉴스

키워드명 : 전기차

 

연관키워드:

배터리(폐배터리, 재활용, 원자재)

 현대자동차(인도네시아, 배터리셀, 현대모비스)

 테슬라(머스크, 점유율, 판매량)

 인플레이션(현대차그룹, ira, WTO)

 아이오닉(조지아주, 롱레이지, 사전계약)

전기차 & 인플레이션

해외 네트워크 구멍난 기업-정부 요소수 대란 이어 전기차 쇼크

 

해외 네트워크 구멍난 기업-정부… 요소수 대란 이어 전기차 쇼크

지난해 말 ‘요소수 대란’에 이어 올해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자동차 업계 피해까지 세계 경제 지각변동에 따른 국내 피해가 발생하지만 정부 당국과 기업들이 제대로 대응하지

n.news.naver.com

파월 매파 발언에 뉴욕증시 '검은 금요일' 나스닥 3.94%

 

파월 '잭슨홀' 매파 발언에 뉴욕증시 '검은 금요일'…나스닥 3.94%↓

다우지수 3,03%↓,S&P 500 3.37%↓...애플 3.77%↓ 제롬 파월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의 '매파 발언'에 26일(현지시각) 뉴욕 주식시장의 3대 지수가 폭락하면서 검은 금요일을 연출했다.

n.news.naver.com

녹색 전기' 모조리 해외에? 신재생에너지 안보는 어쩌나

얼어붙은 IPO 시장 녹인 '폐배터리주'

미국의 한국산 전기차 보조금 제외, 10만대 수출 차질

미국 가야할 판인데 기아 신공장 '노조 몽니'에 멈췄다

한국산 전기차 '수출 전선' 먹구름에...철강사 신사업도 흔들

이창양 산업장관 서 전기차 피해, 민관 합동 대응

K-전기차 덮친 인플레 감축법 정부가 WTO 제소 초강수 둔 이유

현대차그룹, 재도약 선언 서 고전 보조금 끊긴 판매도 적신호

전기차 & 배터리

포스코홀딩스, 폴란드에 폐배터리 재활용 블랙매스 공장 준공

 

포스코홀딩스, 폴란드에 폐배터리 재활용 블랙매스 공장 준공

포스코홀딩스가 8월 25일 폴란드 브젝돌니에 이차전지 리사이클링 공장 'PLSC(Poland Legnica Sourcing Center)'를 준공했다. 이날 준공식에는 유병옥 포스코홀딩스 친환경미래소재팀장, 임훈민

n.news.naver.com

포드도 전기차 가격 인상에 가세, 대당 1136만원 올리기로

 

포드도 전기차 가격 인상에 가세, 대당 1136만원 올리기로

미국 포드 자동차가 배터리 가격 상승에 전기차 가격을 최대 8435달러(약 1136만원)를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26일(현지시간) 경제전문방송 CNBC에 따르면 포드는 머스탱 마하-E의 일부 출고가격을 모

n.news.naver.com

파나소닉, 40억달러 규모의 세번째 배터리 공장 건설 협의 중

셈법 복잡한 배터리업계 '가장 큰 문제는 흑연'

녹색 전기' 모조리 해외에? 신재생에너지 안보는 어쩌나

포스코홀딩스, 폴란드 2차전지 리사이클링 공장 준공

최윤호 삼성SDI 사장, 인디애나 주지사와 배터리 사업 논의

다크호스 전기차... 4000만 원대 수입차, 폴스타2

KG그룹, 쌍용차 품었다 미래차 전환 차종 다양화 '과제 산적'

전량 수입 인조흑연 국산화 성공 수출 증가 기대

전기차 & 현대자동차

해외 네트워크 구멍난 기업-정부 요소수 대란 이어 전기차 쇼크

 

해외 네트워크 구멍난 기업-정부… 요소수 대란 이어 전기차 쇼크

지난해 말 ‘요소수 대란’에 이어 올해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자동차 업계 피해까지 세계 경제 지각변동에 따른 국내 피해가 발생하지만 정부 당국과 기업들이 제대로 대응하지

n.news.naver.com

출시되자마자 1000대 완판 캠핑족 주목한 가성비 수입SUV [ ~알칵]

 

출시되자마자 1000대 완판…캠핑족 주목한 가성비 수입SUV [車~알칵]

폭스바겐코리아가 ‘패밀리 SUV’ 티구안의 첫 가솔린 엔진 모델을 들여왔습니다. 가솔린 엔진 SUV는 경유 가격이 치솟으면서 최근 더 인기를 얻고 있죠. 이른바 ‘디젤 게이트(배기가스 장치 조

n.news.naver.com

엔카닷컴 세단 인기 여전 SUV는 관심도 증가

현대차, 첫 전기차 전용공장 울산 주행시험장 부지에 짓는다

쌍용차 품은 KG그룹 '성장동력 노사관계' 현안 산적

부활 성공 쌍용차, SUV 명가 지위 회복 '급선무'

주말 대기시간만 90분? 아이오닉6 전시공간 가보니 [디자인플러스]

전기차 수출 10만대 차질 국내도 테슬라 보조금 깎아야 [ 인플레 방지법 후폭풍]

[특징주]이수화학, 국내유일 황화리튬 생산 부각 인플레감축법에 몸값

반도체 배터리, 환율 급등에 실적 개선에 주가도 반등?

전기차 & 테슬라

포드도 전기차 가격 인상에 가세, 대당 1136만원 올리기로

 

포드도 전기차 가격 인상에 가세, 대당 1136만원 올리기로

미국 포드 자동차가 배터리 가격 상승에 전기차 가격을 최대 8435달러(약 1136만원)를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26일(현지시간) 경제전문방송 CNBC에 따르면 포드는 머스탱 마하-E의 일부 출고가격을 모

n.news.naver.com

파나소닉, 40억달러 규모의 세번째 배터리 공장 건설 협의 중

 

파나소닉, 40억달러 규모의 美 세번째 배터리 공장 건설 협의 중

파나소닉이 미국에 40억달러 규모의 세번째 전기차 배터리 공장 건설을 위해 관계자들과 협의 중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는 "지난 10년 이상 미국의 테슬라에

n.news.naver.com

올해 가장 많이 팔린차는 OOO 전기차 1위는 OOO

테슬라 제외 전기차주 일제 랠리 니콜라 3.70% (종합)

[영상] 14조 선물 고맙다더니 '현대차 보조금 제외' 바이든 왜?

테슬라, 3대 1 주식 분할 단행 25일 첫 거래

이케아처럼 내가 조립한다 '800만원 전기차' 17분만에 완판

LG이노텍, 테슬라 1조 규모 수주설에 급등

영국 FT, 현대차 기아, 테슬라 맹추격

[공급망 전쟁- ] 빗장 걸고 침투하고 업계 '브레이크'

전기차 & 아이오닉

올해 가장 많이 팔린차는 OOO 전기차 1위는 OOO

 

올해 가장 많이 팔린차는 OOO…전기차 1위는 OOO

올해 국내에서 가장 많이 팔린 승용차와 전기차는 어떤 모델일까. 가장 많은 판매량을 기록한 차는 현대자동차의 그랜저로 나타났다. 수입차 중에선 메르세데스-벤츠가 E클래스가 1위에 올랐다.

n.news.naver.com

내년부터 한국산 전기차 보조금 혜택 제외 수출 타격에 민 관 초비상

 

美 내년부터 한국산 전기차 보조금 혜택 제외…수출 타격에 민·관 초비상

미국의 이른바 '전기차 보조금법'으로 불리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시행을 앞두고 우리 정부의 대응이 분주하다. 이 법은 미국·캐나다·멕시코 등 북미에서 최종 생산·조립되는 전기차에만

n.news.naver.com

[리뷰] 전동화 시대를 달리는 스트림라이너 현대 아이오닉 6

더현대서울, 4색 테마 전시장...주말 90분 대기줄 체험 열기

미국 보조금 차별 테슬라는 주고 현대차 안 준다

미국 인플레감축법 시행하면 전기차 매년 10만 대 수출 차질

현대차 아이오닉6 사전계약 첫날만 3.7만대 역대 최다

현대차의 테슬라 추격, 삼성-애플 경쟁과 유사

폴더블폰 아이오닉6 초기 흥행 성공 비결은?

현대차그룹, 인니 전기차시장 공략 속도 2024년부터 배터리셀 자체 조달

 

출처: 통계청 빅데이터활용(Nowcast)

8월 4주차 키워드로 보는 뉴스

키워드명 : 금리

 

연관키워드:

대출(주택담보대출, 코픽스, 신한은행)

 부동산(서울아파트, 수도권, 아파트값)

 기준금리(중립금리, 정기예금, 고물가)

 인플레이션(통화정책, 소비자물가상승률, 이창용)

 예대금리차(은행연합회, 수신금리, 토스뱅크)

금리 & 대출

파월은 인플레이션 46번 말했다 뉴욕 주가는 3%대 폭락 [Market Watch]

 

파월은 ‘인플레이션’ 46번 말했다…뉴욕 주가는 3%대 폭락 [Market Watch]

잭슨홀 미팅서 " 지금은 금리인상 멈출 때 아니다” 강조 매파적 입장 드러내 시장 급랭 침체 우려 커지며 달러화 강세 계속될듯 수출에도 비상…5개월 연속 무역적자 유력 평화로운 시골마을,

n.news.naver.com

주담대 하려는데 신용등급별 어느 은행 유리할까

 

주담대 하려는데…신용등급별 어느 은행 유리할까

기사내용 요약 고객 신용점수 따라 대출금리 낮은 은행 달라져 금융당국 "대출받기 전 실제 적용금리 비교해야" [서울=뉴시스] 이정필 기자 = 시중은행의 예대금리차가 공시되면서 실제 대출을

n.news.naver.com

부자들이 더 떨고 있다 72% 향후 집값 내릴 것

경매 낙찰률 27% 14년만에 최저, 반값 물건 나와 투자 적기

영끌했다 낭패 피하려면 잔액 안심전환 금리인하권 활용을

인플레'만 45번 외친 파월 의장 커지는 가계빚 공포

케이뱅크, 상반기 중금리대출 1조 공급 잔액 비중 24%

카카오뱅크 '마이너스 통장' 대출 재개 금리 내려

매매 전세, 물건 넘치고 수요 없어

한은, 코로나19 지원 금융중개지원대출 종료

금리 & 부동산

지구촌 경제에 경기침체 먹구름 한국도 성장률 전망 하향

 

지구촌 경제에 경기침체 먹구름…한국도 성장률 전망 하향

에너지난·고물가·고금리화 등 악재 미·중·유럽 성장세 약화…스태그플레이션 우려 여전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의 늪에 빠진 지구촌에 경기침체의 먹구름이 다가오고 있다. 우크라이나 사태

n.news.naver.com

대기업 밀려들더니 순식간에 4억 '뚝' 마곡 집주인들 '눈물' [김은정의 클릭 부동산]

 

대기업 밀려들더니 순식간에 4억 '뚝'…마곡 집주인들 '눈물' [김은정의 클릭 부동산]

'금리 인상에 따른 일시적인 집 값 조정이다' '집 값이 제자리를 찾아가는 과정이다' '부동산 대세 하락장이다' 올 하반기 부동산 시장을 두고 이런저런 분석들이 많습니다. 최근 몇년간 고공행

n.news.naver.com

금리공포'에 서울도 수도권도 집값 '하락일로' 계속된다

플랫폼 대격돌 게임사 `메타버스` 전쟁 막 올랐다

상반기 죽 쑨 신영증권 하반기도 가시밭길 이어지나

[D리포트] 8월 전세대란이라더니 부동산 전망 완전히 빗나가

숨고르기 들어간 원/달러 환율 증권가 전망은?

청약통장 필요 없고, 전매도 가능 수지 몽펠리에 힐포레 관심

금리불안에 종부세도 늑장 완화 부동산시장 한숨만 나와

가계부채 2분기 1869조 사상최대 주담대 등 석달새 6조

금리 & 기준금리

한미 기준금리 역전 불가피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한미 기준금리 역전 불가피…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파월 미 연준 의장이 높은 금리를 유지하겠다고 밝히면서 미국 경기가 더 나빠질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한미 양국의 기준금리도 또다시 역전될 것이 분명해졌는데, 앞으로 우리 경제에

n.news.naver.com

 

피봇(Pivot) 없다 파월 연설에 뉴욕증시 검은 금요일 [김영필의 3분 월스트리트]

 

“피봇(Pivot) 없다" 파월 연설에 뉴욕증시 검은 금요일 [김영필의 3분 월스트리트]

? 26일(현지 시간) 미국 뉴욕증시의 주요 지수가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잭슨 홀 연설에 폭락했습니다. 나스닥이 3.94% 빠진 것을 비롯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과 다우존스

n.news.naver.com

파월 매파본색에 뉴욕증시 '검은 금요일' 다우, 1천P 폭락(종합)

1등은 피하고 봐야 은행들 대출금리 인하 분주

한은 네번째 금리인상 도민 대출부담 가중

아파트값 낙폭 10년만에 최대

경제 지표 개선에 힘입어 25일 뉴욕증시 상승 이어가

마통 뚫어서 버텼는데 소상공인 연속 금리인상에 '울상'

환율 물가 쓰나미에 첫 4연속 금리인상

한은 5~6%대 고물가 지속될 듯 금리 인상 기조 이어갈 필요

금리 & 인플레이션

파월은 인플레이션 46번 말했다 뉴욕 주가는 3%대 폭락 [Market Watch]

 

파월은 ‘인플레이션’ 46번 말했다…뉴욕 주가는 3%대 폭락 [Market Watch]

잭슨홀 미팅서 " 지금은 금리인상 멈출 때 아니다” 강조 매파적 입장 드러내 시장 급랭 침체 우려 커지며 달러화 강세 계속될듯 수출에도 비상…5개월 연속 무역적자 유력 평화로운 시골마을,

n.news.naver.com

 

파월 매파 발언에 뉴욕증시 '검은 금요일' 나스닥 3.94%

 

파월 '잭슨홀' 매파 발언에 뉴욕증시 '검은 금요일'…나스닥 3.94%↓

다우지수 3,03%↓,S&P 500 3.37%↓...애플 3.77%↓ 제롬 파월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의 '매파 발언'에 26일(현지시각) 뉴욕 주식시장의 3대 지수가 폭락하면서 검은 금요일을 연출했다.

n.news.naver.com

인플레'만 45번 외친 파월 의장 커지는 가계빚 공포

기준금리 내년에도 오르나...앞으로 얼마나 더?

한은, 사상 첫 네차례 금리 인상 금융주 '상승세'

이창용 성장보다 물가 먼저 잡는 게 국민경제에 바람직

파이낸셜타임즈 유로존 국채시장 변동성 확대, ECB 안전망 부재 등이 원인

[뉴욕마감]다우 0.2% 상승 저가 매수 유입해 나흘 만에 반등

[치솟는 물가 고점찍었나] 원화 약세 수입물가 상승 `9월 물가 고점` 낙관 일러

채권전문가 10명 중 9명 기준금리 0.25%P 오를 것

금리 & 예대금리차

주담대 하려는데 신용등급별 어느 은행 유리할까

 

주담대 하려는데…신용등급별 어느 은행 유리할까

기사내용 요약 고객 신용점수 따라 대출금리 낮은 은행 달라져 금융당국 "대출받기 전 실제 적용금리 비교해야" [서울=뉴시스] 이정필 기자 = 시중은행의 예대금리차가 공시되면서 실제 대출을

n.news.naver.com

[이슈속으로]예대금리차 공시 두고 은행권 부정확, 불충분

 

[이슈속으로]예대금리차 공시 두고 은행권 "부정확, 불충분"

지난 22일 시작된 예대금리차 비교공시를 두고 은행권의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금리 정보를 소비자에게 정확하고 충분하게 제공한다'는 취지와 맞지 않게 '나쁜 은행' 순위로만 받아들여질 여

n.news.naver.com

방기선 차관 외환시장 쏠림 투기적 움직임 확대시 안정조치

오늘 한은 금통위 은행 볕들까

예대금리차 공시와 기준금리 인상 사이 '눈치 싸움' 일단 줄줄이 인하

[일문일답] 금융위 은행 예대금리차 공시, 타업권 확대 검토

예대금리차 공시 효과? 신한은행 대출금리 일괄 인하

이자 장사 없었다? 공시 직전 '격차 조이기' 나선 은행들

금융당국 예대금리차 공시, 자율경쟁 촉진 소비자 선택 확대

예대금리차 공개 '은행 이자 장사' 한눈에

 

출처: 통계청 빅데이터활용(Nowcast)

'21년 하반기까지 가파르게 상승하던 부동산, 특히 아파트 시장. 

'22년 8월 마지막주 현재, 부동산 시장은 가파르게 얼어붙었다. 

 

거래량이 거의 없지만 그마저 기존 실거래 최고가에서 10%이상 하락하여 체결되고 있다. 

 

매수자들은 추가 하락을 예상하고 있지만,

매도자는 직전의 실거래 기준가를 본인 자산의 가치로 생각하기에,

10% 하락한 가격에서도 계약이 체결되지 않는다고 한다. 

 

부동산의 특성상, 시시각각 변화하는 해당 자산의 가치를 평가하기는 쉽지 않다. 

특히, 실제 계약이 성사되지 않는 현 상황에서는 더욱 어렵다. 

 

앞으로 계약이 많이 성사되지 않을 현 부동산 시장에서, 경매/공매 동향을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매도의사가 확정된 상태의 물건에 대한, 

매수자의 매수 의사 표시, 가격 결정으로 계약이 체결되는 것이 경매 혹은 공매의 특징이기 때문이다. 

 

앞으로는 부동산 시장을 살펴볼 때, 경매/공매 동향을 유심히 살피보록 하자.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804_0001968140&cID=10401&pID=10400 

 

감정가보다 2억 낮은 아파트도 유찰…서울 경매시장 '찬바람'

[서울=뉴시스] 홍세희 기자 = #1

www.newsis.com

 

http://news.tvchosun.com/site/data/html_dir/2022/08/06/2022080690072.html

 

'똘똘한 한 채'도 깨지나…강남 아파트, 경매 시장서 유찰

[앵커]보통 경매가는 시세보다 낮기 때문에 인기 지역 아파트가 경매로 나오면 경쟁이 치열합니다. 그런데 최근 정반대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고 합니..

news.tvchosun.com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968806632426008&mediaCodeNo=257&OutLnkChk=Y 

 

경매 나온 타워팰리스도 유찰 …거래절벽에 낙찰률 14년만에 최저

역대급 거래절벽이 이어지면서 경매시장에도 찬바람이 불고 있다. 집값이 오를 대로 올랐다는 인식 탓에 경매에 참여하는 사람도 줄면서 낙찰률과 경매 취하율도 급감했다. 실제로 서울 강남구

www.edaily.co.kr

 

 

 

 

 

 

8월 3주차 키워드로 보는 뉴스

키워드명 : 금리

 

연관키워드:

대출(안심전환대출, 취약계층, 금융권)

 부동산(재건축, 국토교통부, 증권사)

 기준금리(빅스텝, 소비자물가지수, 금리인상)

 코픽스(전세자금대출, 취급액, 대출금리

 

금리 & 대출

"25억 넘겼던 집이 19억 됐다"…흑석동 아파트 '비명' [김은정의 클릭 부동산]

 

"25억 넘겼던 집이 19억 됐다"…흑석동 아파트 '비명' [김은정의 클릭 부동산]

"정부가 대규모 주택을 공급한다고 하니 매입 시점을 좀 더 늦추는 게 낫겠죠?" 요즘 서울 도심 공인중개사무소엔 이런 질문을 하는 수요자들이 종종 있다고 합니다. 공인중개사무소 관계자들도

n.news.naver.com

얼어붙은 주택시장… 수도권 아파트값 상승 지역 ‘전무’

 

얼어붙은 주택시장… 수도권 아파트값 상승 지역 ‘전무’

매수 수요가 관망세로 돌아서며 거래절벽이 이어지는 가운데 수도권 아파트 시장의 약세가 5주 연속 이어졌다. 입주 여파 등으로 외곽지역부터 매물이 쌓이면서 아파트 매매 및 전세가격 하락

n.news.naver.com

믿음 주기엔 미흡했던 공급 대책 [김상철의 경제 톺아보기]

“무서운 금리 상승”….20·30대 전세 위해 빌린 돈만 100조원 육박 [그래픽뉴스]

롯데카드, '현대' 제치고 4위 꿰찼다… 매각전 속도 붙나?

‘노도강 세입자의 눈물’…집값은 빠져도 월셋값은 뛴다 [부동산360]

기준금리보다 낮아진 '1%대 청약통장'…가입자들 분통

"집값 하락, 날씨처럼 받아들여야"…서울 전체 '마이너스'

 

금리 & 부동산

철도 역세권 투자법 부동산 절세 전략 전문가들 비법 공개

 

철도 역세권 투자법 부동산 절세 전략… 전문가들 비법 공개

오늘도 다양한 재테크 강연 대한민국 부동산 트렌드쇼 개막 이틀째인 20일에도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 D홀에서 다양한 부동산 재테크 강연이 펼쳐진다. 메인 세미나장에선 박합수 건국대 부

n.news.naver.com

지금이 내 집 마련 기회될수도 조정 장세 길어질 가능성

 

“지금이 내 집 마련 기회될수도” “조정 장세 길어질 가능성”

삼성동 코엑스서 오늘까지 “경기 침체 우려가 불거진 지금이 오히려 내 집 마련의 기회가 될 수도 있습니다. 금리가 다시 내리길 기다리면 늦을 수도 있습니다.”(이상우 인베이드투자자문 대

n.news.naver.com

믿음 주기엔 미흡했던 공급 대책 [김상철의 경제 톺아보기]

전국 아파트 매수심리 2년9개월만에 최저 3개월째 하락

아파트 매수심리 전국이 꽁공 2년 9개월만에 최저

서초 용산마저 서울 25개구 아파트값 모두 하락

민간주도 주택공급, 밑그림 빠졌지만 금융권 '관심'

미 부동산 침체 왔나 주택 매매 1년새 20% 급감

[차호중의 재테크 칼럼]국내 상장 리츠(REITs)를 바라보는 시각

 

금리 & 기준금리

한은, 25일 금통위서 금리 0.25%P 인상 유력 성장률 전망 관심

 

한은, 25일 금통위서 금리 0.25%P 인상 유력…성장률 전망 관심

"국내 물가흐름이 현재 전망하고 있는 경로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면 당분간 금리를 0.25%포인트씩 점진적으로 인상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7월 13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오는 25일 기준

n.news.naver.com

치솟는 원/달러 환율 한달 만에 다시 1320원대로

 

치솟는 원/달러 환율… 한달 만에 다시 1320원대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위원들의 매파적 발언이 이어진 가운데 원/달러 환율이 전날 장중 연고점을 갈아치웠다. 반면 코스피는 치솟는 환율에 짓눌리며 결국 2500선이 무너져내렸다. 20일

n.news.naver.com

연준 고위인사 침체 감수하더라도 인플레 잡을 것

뉴욕증시, 긴축 우려에 하락 마감 나스닥 2.01%

연 4.35% 드려요 저축은행 예금금리 경쟁 치열

[뉴욕증시] 연준 매파적 기조에 하락 금융 자유소비재, 2%대

이자장사만 26.2조원 은행 상반기 순이익 10조원 벌었다

소비자물가 7년 7개월 최대

[이슈분석] 연준 긴축속도조절 시사 증시는 여전한 경계감 왜?

22일부터 매달 예대금리차 공시 은행권 1호만 피하자

[숫자로 본 경제] 5년간 전국에 주택 270만 호 공급 계획

연준, 추가 금리인상 예고하면서도 언젠간 속도 늦춰야... 증시는 약세

 

금리 & 코픽스

얼어붙은 주택시장 수도권 아파트값 상승 지역 전무

 

얼어붙은 주택시장… 수도권 아파트값 상승 지역 ‘전무’

매수 수요가 관망세로 돌아서며 거래절벽이 이어지는 가운데 수도권 아파트 시장의 약세가 5주 연속 이어졌다. 입주 여파 등으로 외곽지역부터 매물이 쌓이면서 아파트 매매 및 전세가격 하락

n.news.naver.com

무서운 금리 상승 .20 30대 전세 위해 빌린 돈만 100조원 육박 [그래픽뉴스]

 

“무서운 금리 상승”….20·30대 전세 위해 빌린 돈만 100조원 육박 [그래픽뉴스]

전세 자금 마련을 위해 20·30대가 은행에서 빌린 돈이 100조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8월 15일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은행권 전세자금대출 현황' 자

n.news.naver.com

보험사 주담대 이자도 부담 KB는 6.15% 삼성은 5.84%

[커지는 이자부담 ]대출금리, 어디까지 오르나

코픽스 종류 구분하고 인터넷은행 찾고 더 바빠진 대출자들

코픽스 고공비행에 가계 울상 금리 선택권 늘려야

은행권 예대금리차 다음주 드러난다

변동형 주담대 6%대 재진입 잠 못 드는 2030세대 '영끌족'

22일부터 매달 예대금리차 공시 은행권 1호만 피하자

'임금 6.1% 주 4.5일제' 연봉 1억 금융노조 총파업 간다

전세대출 언감생심 자취도 포기 청년맞춤 전세금리도 4% 돌파

이제 외식도 못하겠네 전세살이 2030, 이자폭탄에 신용 '경고등'

코픽스 사상 첫 '빅스텝' 변동금리 >고정금리 현상 지속 전망

 

금리 & 인플레이션

환율 장중 1328원,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고

 

환율 장중 1328원,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고

미국의 추가 금리 인상 우려 등의 여파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이 장중 기준으로 13년 만에 최고점을 기록했다. 19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화 환율은 오전 한때 달러당 1328.8원까지 상승(원화 약세)

n.news.naver.com

치솟는 원/달러 환율 한달 만에 다시 1320원대로

 

치솟는 원/달러 환율… 한달 만에 다시 1320원대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위원들의 매파적 발언이 이어진 가운데 원/달러 환율이 전날 장중 연고점을 갈아치웠다. 반면 코스피는 치솟는 환율에 짓눌리며 결국 2500선이 무너져내렸다. 20일

n.news.naver.com

연준 고위인사 침체 감수하더라도 인플레 잡을 것

연준 금리 계속 올린다 vs 증시 허풍은 누가 맞을까[오미주]

섬머랠리 주도주 태조이방원 지금 올라타도 될까

비트코인, 금리인상 공포에 '털썩' 2만1000달러대 '턱걸이'

다음주 금통위 0.25%p 금리인상 유력

뉴욕증시, 연준 긴축 경계에 하락 나스닥 2% 마감

뉴욕증시, 기술주 주도로 하락 출발

뉴욕 증시, 일제히 하락 다음 주 파월 의장 연설에 경계감

[커지는 이자부담 ]대출금리, 어디까지 오르나

1년 새 10% 이상 오른 환율, 어떻게 봐야 할까?

증시 강보합세에 비트 이더 하락 멈춰 3100만원대 지속

이재용 본격 등판 반도체 , 코스피 방파제 역할할까 [증시 개장 전 꼭 알아야 할 5가지]

원-달러 환율, 연고점 경신 13년4개월 만에 최고

 

 

 

출처: 통계청 빅데이터활용(Nowcast)

 

 

 우리는 세금을 마주하고 싶지 않다. 

세금을 아끼기 위해서 공부를 하는 것은 재미없다. (그리고 어렵다.)

 

 우리는 운동하고 싶지 않다. 

운동을 어떻게 잘 할수 있을지 고민하는 것, 역시 재미없다. (그리고 어렵다.)

 

 하지만. 

누군가는 운동을 미친듯이 한다. 

운동을 쉬는 것은 생각도 할 수 없다고 이야기하며, 모든 일정을 운동에 맞추기도 한다. 

(운동하기 위해서 잘 먹고, 운동의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해서 잘 쉬어준다.)

 

 왜일까? 어떻게 그렇게 할 수 있을까? 그 힘들고 지겨운 운동에 미치는 이유는 대체 무엇이란 말인가.

그 이유를 들어보면 "운동 자체가 재미있다"거나 "운동의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보는 보람이 있다"라고 한다. 

 

 

 다시 세금으로 돌아와보자. 

 

필자(우리)는 세금을 아끼기 위한 공부가 재미없었다. 

 

왜일까?

  - 일반적인 근로소득자(급여생활자)는 공부를 해도 아낄 수 있는 세금이 별로 없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세금을 공부한다고 아낄 수 있는 세금이 있을까? 

  - 급여 이외의 소득이 없다면, '아니오'이다. 

 

그럼 왜 세금을 공부해야 할까? 

  - 우리는 세금을 많이 낼 사람(= 돈을 많이 벌 사람)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 그렇지 않을 것 같다면, 하지 않아도 된다. 

  - 그렇게 되기 싫다면, 하지 않아도 된다. 

 

어떤 세금을 공부할 것인가?

  - 소득을 발생시킬 분야를 공부해 볼 것이다. 

  - 먼저는 부동산, 주식에서 시작할 것이다.

 

어떤 마음으로 할 것인가?

  - 재밌게 할 것이다. 어떻게? 돈 벌어주는 공부인데 어떻게 재미가 없겠는가. 

 

어렵지 않을까?

  - 어려울 수 있다. 어렵지 않으면 누구나 쉽게 돈벌고, 세금 쉽게 아낄 수 있을 것이다. 

  - 어려우면 어려운 만큼 공부해둔 필자(우리)의 경쟁력이 될 것이다. 

 

 

 

 

 

 

 

 

 

필자는 최근 세계 초유의 사태인 코로나 시국을 통해 개인적으로도 많은 생각의 변화가 있었다.

 

2020년 묻지마 영끌로 내집마련에 성공하였고,

2021년 슈퍼 인플레이션 폭등구간의 환각현상? 속에서 복권 당첨 된것마냥 열광하였고,

2022년 비과세 구간을 지나고 보니 귀신같은 원점 회기본능에 놀라움을 금치 못하고 있다.

 

늘 그랬듯 남이 하는 일은 쉬워 보이나 내가 하면 신기루 세상 속에 빠져있는 듯하다.

 

일장춘몽(一場春夢)이란 이런 것이구나 싶기도 하지만...

이 또한 지나간 과거의 역사의 한페이지가 되었고,

거시경제 속에서 유의미한 액션을 행하지 못한 개미가 받아들여야 하는 현실은 다음과 같이 냉혹하다.

 

 

그림 1. 전체근로자 연평균 임금총액

 

고용노동부 고용노동통계에 따르면 2022년 전체 근로자 연 평균 임금은 약 4,310만원으로 추정되며,

그림 1에 표시된 추세선을 기반으로 하여 향후 10년간 수입(2023-2032년)은 약 5.00억원 수준으로 예상된다.

 

20227월 기준 전국 아파트매매 중위가격은 약 5.14억원으로 추정되며,

누구나 살고싶은 대한민국 제 1도시 서울 아파트매매 중위가격은 약 10.93억원으로 추정된다.

(참고자료: KB 부동산 데이터 허브)

 

, 근로자 평균 임금 수준으로는 단 1원도 쓰지 않고 차곡차곡 모아도 10년 이내 내집마련은 불가하며,

서울 내집마련은 20년 이내 불가능하다는 단순한 결론에 도달한다.

이는 어디까지나 향후 10년간 집값이 2022년 현재 수준에 머물러 있다는 파격적인? 조건 하에서 유추한 결과이다.

 

세상에 오르지 않는 것은 내월급 뿐이라는 냉혹한 현실은 부동산에도 예외없이 적용된다.

 

2017년 7월 전국 아파트매매 중위가격은 약 3.11억원, 서울 아파트매매 중위가격은 약 6.29억원으로

지난 5년간 전국 아파트매매 중위가격은 약 65% 폭등하였으나, 근로자 연 평균 임금은 약 15% 상승에 불과하다.

 

내가 받는 급여의 상대적 가치는 추풍낙엽(秋風落葉)과 같이 떨어진 셈이다. 참으로 억울한일이 아닐 수 없다.

 

이러한 상황속에 각자 판단하고 선택할 길은 다르겠지만,

필자는 이러한 과거에서 느낀 소회?를 받아들이고 새로운 설계를 그려보고자 한다.

 

최소한 내집 한채 정도는 은행 대출이 아닌 오롯이 내것으로 누려보는 FLEX는 해봐야 하지 않겠는가...

 

안녕하세요? 허니입니다. 오랜만에 포스팅이라서 가볍게 글을 올립니다.

 

이번 주말에 인삼주를 만들어 보았고, 일상 공유 차 글 올리니 가볍게 읽어주세요.

 

인삼주는 보통 6년근을 사용해야 한다고 해서 인터넷으로 구매하였고,

 

배송을 받아 보니 인삼이 생각보다 길어서 놀랐습니다. 

 

 

인삼은 처음부터 살때부터 쾌척되어져 있는 것을 샀더니 손질할 필요도 없이 편했습니다.

 

담금주 용 소주는 30도인데 코스트코 보드카를 활용해도 된다고 합니다.

 

 

구매를 완료한 인삼이 물기가 조금 남아 있어서 완벽하게 말려주었고, 한병에 3개씩 넣고 소주를 가득 채웠습니다.

 

 

만드는건 간단하지만 오랜시간이 걸려 마실수 있게 된다는 점이 아쉬운 점이지만

 

10년, 20년... 후 기념이 되는 날 가족과 나의 친구들과 함께 마실 생각을 하니 기분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대한민국 대표 기업 삼성전자는 어떤 회사일까?

삼성전자는 1969년 1월에 삼성전자공업주식회사로 설립하였으며 1984년 2월 상호를 삼성전자(주)로 변경하였다고 합니다. 삼성전자 본사를 거점으로 한국 및 CE(Consumer Electronics), IM(Information technology & Mobile communications) 부문 산하 해외 9개 지역총괄과 DS(Device Solutions) 부문 산하 해외 5개 지역총괄의 생산판매법인, Harman(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산하 종속기업 등 244개의 종속기업으로 구성되었다고 합니다.

더보기

삼성전자는 본사를 거점으로 한국 및 CE, IM 부문 산하 해외 9개 지역총괄과 DS 부문 산하 해외 5개 지역총괄의 생산ㆍ판매법인, Harman 산하 종속기업 등 244개의 종속기업으로 구성된 글로벌 전자 기업입니다.

사업군별로 보면 Set사업에서는 TV를 비롯하여 모니터, 냉장고, 세탁기 등을 생산ㆍ판매하는 CE 부문과 스마트폰 등 HHP, 네트워크시스템, 컴퓨터 등을 생산ㆍ판매하는 IM 부문이 있습니다. 부품사업에서는 DRAM, NAND Flash, 모바일AP 등의 제품을 생산ㆍ판매하고 있는 반도체 사업과 모바일ㆍTVㆍ모니터ㆍ노트북 PC용 등의 OLED 및 TFT-LCD 디스플레이 패널을 생산ㆍ판매하고 있는 DP 사업의 DS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2017년 중 인수한 Harman 부문에서 디지털 콕핏, 텔레메틱스, 스피커 등을 생산ㆍ판매하고 있습니다.

지역별로 보면 국내에는 CE, IM 부문 및 반도체 사업을 총괄하는 본사와 28개의 종속기업이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본사는 수원, 구미, 기흥, 화성, 평택, 광주사업장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내 종속기업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생산하는 삼성디스플레이㈜와 국내 대리점 판매를 전담하는 삼성전자판매㈜, 제품의 서비스를 담당하는 삼성전자서비스㈜ 및 제품의 운송을 담당하는 삼성전자로지텍㈜ 등 총 28개의 비상장 종속기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해외는 미주,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등지에서 생산, 판매, 연구활동을 담당하는 216개의 해외 종속기업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미주는 TV, HHP 등 Set제품의 미국 판매를 담당하는 SEA(New Jersey, USA), TV 생산을 담당하는 SII(California, USA), 반도체 생산을 담당하는 SAS(Texas, USA), 전장부품사업 등을 담당하는 Harman(Connecticut, USA) 등을 포함하여 총 58개의 판매ㆍ생산 등을 담당하는 법인이 있습니다. 유럽은 Set제품 판매법인 SEUK(UK), SEF(France), SEG(Germany), SEI(Italy) 등과 TV 생산법인 SESK(Slovakia), SEH(Hungary), 냉장고 등 생산법인 SEPM(Poland) 등을 포함하여 총 66개의 법인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아시아(중국 제외)는 SAPL(Singapore)을 중심으로 판매법인 SEAU(Australia), SEPCO(Philippines), SME(Malaysia) 등과, HHP 등 복합생산법인 SIEL(India), HHP 생산법인 SEVㆍSEVT(Vietnam), TV 등 생산법인 SEHC(Vietnam),  DP 생산법인 SDV(Vietnam) 등을 포함하여 총 30개의 법인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중국은 중국 내 Set제품 판매법인 SCIC(Beijing), SEHK(Hong Kong) 등과 반도체ㆍDP 판매법인 SSS(Shanghai), SSCX(Xian), Set제품 생산법인 SESC(Suzhou) 등, 반도체 생산법인 SCS(Xian) 등을 포함하여 총 34개의 법인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CIS, 중동, 아프리카에서는 판매ㆍ생산 등을 담당하는 28개 법인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부문 제품
CE TV, 모니터,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
IM HHP, 네트워크시스템, 컴퓨터 등
DS 반도체 DRAM, NAND Flash, 모바일AP 등
디스플레이 OLED 스마트폰 패널, LCD TV 패널, 모니터 패널 등
Harman 디지털 콕핏(Digital Cockpit), 텔레메틱스, 스피커 등

CE(Consumer Electronics) 부문

TVCE 사업 분야의 핵심 제품으로, 2019년 기준 무려 14년 연속으로 세계 시장점유율 1위를 유지하였다고 합니다. LCD, LED TV 등 제품의 하드웨어 경쟁우위는 물론 Smart TV 분야에서도 독보적인 우위를 점하며 SW 산업으로의 전환을 선도하고 있으며 향후 8K QLED 및 초대형 제품을 통해서 확고한 경쟁력 우위를 바탕으로 시장 지배력을 계속 확대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더보기

1. 산업의 특성

주요 제품인 TV 산업은 1926년 흑백 TV 개발, 1954년 RCA사가 Color TV(21") 양산ㆍ판매를 시작한 이래로 트리니트론 브라운관(1967년), 완전평면 브라운관(1996년) 개발 등 기술적인 발전을 거듭해 왔으나, 주요 국가 보급률이 90%를 넘어서면서 브라운관 TV사업의 성장은 정체되었습니다. 그러나 Flat Panel TV(LCD, PDP) 출시, 디지털 방송 확산(영ㆍ미 1998년~ ) 등을 통해 TV 시장은 성장 모멘텀을 되찾았으며, Flat Panel TV는 화질, 디자인 등 제품의 성능 향상과 지속적인 제품가격 하락을 통해 성장을 지속하며 기존 브라운관 TV 시장을 빠르게 대체하였습니다. 2010년에는 입체감을 느낄 수 있는 3D TV가 출시되었고, 2011년부터 2012년에 걸쳐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 업체의 부상과 스마트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 확대로 스마트 TV 시장이 태동하였습니다. 이후 화질 및 해상도가 혁신적으로 높아진 UHD TV와 새로운 폼팩터인 Curved TV가 출시되고, 퀀텀닷 TV가 상용화되는 등 TV시장은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습니다.

2. 국내외 시장여건 

TV시장의 Mega Trend인 대형화ㆍ고화질화가 Device 간, 업체 간 경쟁 격화에 따라 더욱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제품력, 브랜드파워를 앞세운 Major 업체의 강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또한, 고화질ㆍ슬림 제품에 대한 소비자 Needs가 높아짐에 따라 친환경 소재인 LED BLU(Back Light Unit)를 적용하여 TV의 밝기와 명암비는 높이고 소비전력을 낮춘 LED TV가 시장의 Main Stream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전체 TV 수요는 2017년 기준 2억 1,510만대 수준으로 LCD TV 수요가 2억 1천만대로 99% 이상의 시장 점유를 이어 나갔습니다. 2018년 전체 TV수요는 2억 2,100만대 이상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2.9% 성장하였습니다. 2019년 전체 TV수요는 2억 2,291만대로, 고해상도 대형화면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UHD TV는 전년 대비 20% 증가하였으며 75" 이상 초대형 시장도 삼성전자의 수요 창출 노력으로 전년 대비 약 88% 성장하였습니다. 

2020년에도 프리미엄 TV 시장 수요 창출을 위한 화질, 사운드, 폼팩터 혁신 노력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특히, 삼성전자가 주도하고 있는 8K 시장 확대에 따른 업체 간 제품 경쟁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2020년 TV 시장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COVID-19)")의 전 세계 확산에 따른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 확대가 소비 심리 위축으로 이어지게 되면 시장의 수요는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3. 영업의 개황 

2006년이후 2019년까지 14년 연속으로 TV 판매 1위를 달성하였습니다. 2017년 'QLED TV'라는 신규 카테고리를 창출하여 어떤 밝기 영역에서나 정확한 컬러를 표현할 수 있는 궁극의 화질을 제공하고 유명 아티스트와 갤러리ㆍ미술관과의 협업을 통해 세계적인 명화, 사진 작품부터 개인 사진 등을 예술 작품처럼 감상할 수 있는 '더 프레임(The Frame) TV'를 선보임으로써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과 일체화된 'Screen Everywhere'의 비전을 제시하였고, 2018년부터 프리미엄 리더십을 강화하기 위해서 'QLED + 초대형' 두 가지 축으로 프리미엄 TV 전략을 추진하였습니다.  QLED에 로컬디밍 기술을 적용하여 블랙 및 콘트라스트 등 화질을 개선하였을 뿐만 아니라, 기기 간의 연결성 강화 및 AIㆍIoT 경험을 선사하여 라이프 스타일 경험을 확대하였습니다.

2019년 세계 최초로 8K TV를 글로벌 시장에 공개하여 다시 한번 TV Industry의 프리미엄 제품 리더십을 주도하였습니다. QLED 라인업은 중형에서 초대형까지 다양한 사이즈를 구비하여 소비자에게 다양한 선택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고, 화질도 한층 더 개선되었다는 전문가와 소비자의 평가를 받았습니다. 삼성전자는 QLED뿐만 아니라 UHD 라인업에서도 초대형 사이즈를 구비해서 견조한 실적을 기록하였습니다.
2020년 기존 프리미엄 TV 전략을 지속 추진하려고 합니다. QLED는 8K 라인업 확대 및 한층 강화된 QLED 제품 경쟁력을 기반으로 하여, 프리미엄 시장에서 리더십을 지속해서 유지하고 초대형 시장 지배력을 확대할 예정입니다.

8K QLED은 2016년부터 대규모 투자를 통해 65~98인치 8K QLED(양자점발광다이오드) 기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IM(Information technology & Mobile communications) 부문

휴대폰, 태블릿, Wearable 제품 등 모바일 관련 스마트 기기를 생산판매하는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사업의 핵심 제품인 스마트폰은 '갤럭시(GALAXY)' 브랜드를 통해 프리미엄 제품부터 보급형까지 폭넓은 제품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선진시장과 성장시장에서 균형 있는 발전을 이루어 왔습니다.

Flexible OLED 기반의 폼팩터 혁신, 고성능 카메라 채용, 생체 인식 센서 및 배터리 충전기술 강화 등의 의미 있는 혁신을 지속하고,

모바일 결제 서비스 'Samsung Pay', 능형 서비스 'Bixby'의 서비스 향상과 더불어 Cloud, IoT, Health, ARVR 미래 성장을 위한 노력을 지속함으로써 고객에게 가치 있는 경험을 제공하고 스마트폰 시장의 발전을 이끌어 가고 있습니다.

더보기

1. 산업의 특성 

휴대폰 산업은 1980년대 초 음성 통화만 가능했던 1세대 아날로그 방식으로 시작하여 음성 및 문자 메시지 전송이 가능한 CDMA와 GSM의 2세대 디지털 방식을 거쳐, 음성 데이터뿐만 아니라, 사진,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까지 전송 가능한 WCDMA 등의 3세대 이동통신으로 발전하였으며, 이후 대용량 데이터의 초고속 전송이 가능한 4세대 LTE 서비스가 글로벌로 확산하여 2019년에 판매된 휴대폰의 75%가 LTE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2019년 초 4차 산업 혁명을 포함하여 미래 변화를 주도할 5세대 이동통신 5G 서비스가 한국과 미국에서 본격 상용화되었으며, 유럽과 호주 등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5G 스마트폰은 2020년 2.0억대 판매가 예상되고 있습니다.스마트폰은 2007년 이후 큰 폭으로 성장해 왔으며, 2020년 전체 휴대폰 중 스마트폰의 비중은 76%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일부 성장 시장에서의 LTE 피처폰 수요 등으로 피처폰 비중도 24%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 보급률은 2019년 49%에서 2020년 51%로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스마트폰 시장이 성숙함에 따라 고성능 AP, 대화면 AMOLED Display, 멀티카메라, 센서, 방수 방진, 생체 인증과 같은 Hardware 뿐 아니라 플랫폼 기반의 Application, UX, Mobile Payment, AI, AR 등의 Software와 서비스 경쟁력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습니다.

2. 국내외 시장여건 

스마트폰 시장은 5G 서비스의 본격적인 확산에 따라 2019년 14.1억대에서 2020년 14.5억대까지 확대할 것으로 전망되었으나, 코로나19(COVID-19)의 전 세계 확산에 따라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태블릿 시장은 교체 수요 감소 및 코로나19(COVID-19) 영향 등으로 전년 수준으로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3. 영업의 개황 

삼성전자의 주력사업인 휴대폰 시장에서 글로벌 1위의 위상을 유지하고 있으며, 특히 스마트폰은 2011년 이후 현재까지 9년 연속 글로벌 1위의 입지를 확고히 하고 있습니다. 또한, 휴대폰뿐만 아니라 전체 모바일 시장에서의 사업 위상을 강화하기 위해 태블릿과 Wearable, 액세서리 등의 제품과 함께 서비스, 온라인, B2B 등 미래 성장 동력이 될 수 있는 육성사업을 적극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프리미엄에서 보급형까지 다양하고 경쟁력 있는 스마트폰 라인업을 활용하여 지역별 시장 상황과 경쟁 환경에 최적화된 제품 포트폴리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특히 프리미엄 스마트폰은 갤럭시 S와 갤럭시 노트 시리즈를 통하여 대화면 AMOLED Display와 Edge 디자인, Infinity Display, 블루투스 S펜, 방수 방진, 고속ㆍ무선 충전, 무선 배터리 공유, 초음파 방식의 온 스크린 지문인식, 100배 줌 사진 및 8K 영상 촬영 등 고객 Needs 기반의 차별화된 기능을 지속해서 선보이고 있습니다. 2019년에는 세계 최초 5G 스마트폰 출시로 5G 시장 리더십을 선점하고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갤럭시 폴드로 신규 시장을 개척한 데 이어, 2020년에는 상하로 접히는 신규 폴더블 폼팩터인 갤럭시 Z 플립을 출시하여 모바일 기술 트렌드를 선도해 나가고 있습니다.
또한,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과 고객 수요에 민첩하게 대응하기 위해 중저가 스마트폰에도 쿼드 카메라, 트리플 카메라, 로테이팅 카메라와 새로운 Infinity Display, 5G 등 혁신 기술을 적극적으로 채택하여 제품경쟁력을 높이고 있습니다. 
스마트폰 외에도 갤럭시 Tab S 등의 프리미엄 태블릿 및 스마트워치, 무선 블루투스이어폰과 같은 Wearable 제품과 급속 무선 충전을 지원하는 무선충전스탠드 등 다양한 액세서리 제품을 통해 삼성전자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고객에게 더욱 풍부하고 편리한 모바일 경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제품과 더불어 삼성전자는 그동안 Samsung Pay, Samsung Health, Bixby, SmartThings등의 실용적이고 가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해 왔으며, 한층 더 진화한 New Bixby를 통해 일상 어디에서나 사용자에 최적화된 서비스 경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서비스 경쟁력 강화뿐만 아니라 고객이 어느 기기를 사용하더라도 일관되고 끊김 없는 경험을 할 수 있는 Multi Device Experience를 제공하기 위해 스마트폰 외에도 TV, 냉장고, 에어컨 등 다양한 제품군에 Bixby를 적용하고 있으며, Ecosystem확장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도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5G, MEC, AI, IoT, Cloud, AR, Blockchain, Mobile B2B 시장 등 미래 성장에 대비한 투자를 지속하고 업계 최고 수준의 R&D 역량을 바탕으로 고객에게 새로운 가치를 끊임없이 제공하여 글로벌 위상을 더욱 높여 가고 있습니다.


DS(Device Solutions) 부문

DRAM, NAND Flash 정보를 저장하고 기억하는 메모리 반도체 사업모바AP, 카메라 센서칩 등을 설계판매하는 System LSI 사업, 반도체 제조 위탁 생산을 하Foundry 사업, 그리고 액정화면 표시 장치인 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을 생산판매하는 DP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메모리 반도체 사업은 DRAM, NAND Flash 제품 등에 초미세 공정 기술을 적용하여 경쟁사 대비 차별성 있는 제품의 생산과 원가 경쟁력을 통해 전 세계 메모리 시장의 선두 자리를 지속해서 유지하고 있으며

System LSI 사업은 모바일용 반도체 사업에서 차량용 반도체 사업으로 확장을 추진 중이며 지속적으로 추진해온 선행 공정 개발로 AP, CIS 등의 제품 차별화 및 경쟁력 제고를 통해 시장 지배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Foundry 사업은 2019년 세계최초 EUV 공정을 적용한 7나노 제품을 성공적으로 출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20205나노4나노 개발 및 GAA(Gate All Around)기술을 적용한 3나노 등 차세대 공정도 적기 개발하여 시장으로 확대 계획이며 CIS, DDI, PMIC 등 공정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여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DP의 중소형 패널 사업은 차별화된 기술을 바탕으로 OLED 패널의 점유율을 확대하는 한편, 폴더블NotebookAutomotive 등 신규 응용처 출시를 통해 시장 영역을 넓혀 나가고 있습니다. 또한, 대형 패널 사업은 고화질, 초대형, 퀀텀닷 등 프리미엄제품 중심으로 사업을 특화하고, 지속해서 기술 및 생산성 향상을 추진하여 사업 경쟁력을 제고하고 있습니다.

더보기

1. 반도체

1-1. 산업의 특성 

반도체는 일반적으로 정보를 저장하고 기억하는 메모리 반도체와 연산과 추론 등 논리적인 정보처리 기능을 하는 System LSI(비메모리 반도체)로 구분됩니다. 메모리 반도체는 크게 읽고(Read) 쓸 수(Write) 있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제품과 읽기만 할 수 있는 롬(ROM, Read Only Memory) 제품으로 구분됩니다. 램(RAM)은 전원이 꺼지면 기억된 내용은 지워져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라고 하며, 컴퓨터의 주 기억장치, 응용프로그램의 일시적 로딩(Loading), 데이터의 일시적 저장 등에 사용됩니다. 롬(ROM)은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가 지워지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대표적으로 입출력 시스템이나 IC카드 등에 사용됩니다. System LSI 제품은 응용처 등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며 가장 규모가 큰 것이 PC 및 모바일 기기, 서버 등의 중앙처리 장치인 CPU(Central Processing Unit)이고 가전, 네트워크,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태블릿 등 모바일용 AP제품과 이미지센서, 기타 주문형 반도체 등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시장은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률 저하 및 태블릿 시장 역성장 등 모바일 기기의 수요 감소로 성장률 감소의 요인이 있으나, 서버 등 정보 저장 기기의 고용량화로 메모리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1-2. 국내외 시장여건 

DRAM은 2020년 데이터센터 중심의 서버 수요 증가가 예상됩니다. 코로나19(COVID-19)의 전 세계 확산에 따른 대외적 요인으로 시장의 불확실성이 가중되고 있으나, 데이터센터 업체의 재고 조정에 따른 수요 증가에 적기 대응하여 M/S 확대를 추진하고 신규 CPU 고용량 시장을 선점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NAND는 Cloud Service 강화로 인한 SSD 수요 확대, PC 고용량화, 5G 도입 및 Game Console 신규 수요 발생 등으로 수요가 지속 증가하고 있으며, 공급 과잉에 따른 가격 하락은 완화되고 있습니다.

1-3. 영업의 개황 

EUV 공정을 업계 유일하게 DRAM 양산에 적용해 차세대 DRAM 개발의 핵심 기술을 가장 먼저 확보함으로써 다시 한번 반도체 미세 공정의 한계를 돌파하였으며, AIㆍ슈퍼컴퓨터에 구현되는 고성능 고대역폭 메모리(HBM2E) 공급을 본격적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앞선 기술력을 확보한 Vertical NAND는 6세대 적층제품 개발에 성공하였으며 고성능 SSD에 탑재하여 프리미엄 시장에 진입할 예정입니다.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선단 공정을 기반으로 한 차별화 제품 확대 및 다양한 제품 라인업을 이용한 응용처별 최적 대응을 통해 메모리 1위 업체로서 시장을 선도해 나갈 것입니다. 또한, System LSI는 스마트폰, 태블릿 등 모바일 제품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앞으로 확대가 예상되는 IoTㆍWearableㆍAutomotive 등 신규 시장에서의 성장도 준비하고 있습니다.  SOC 제품의 경우 스마트폰의 교체 주기 증가 등으로 모바일 시장에서의 성장은 제한적이나, 5GㆍAutomotiveㆍAI 등 신규 기술에 대한 수요는 증가하고 있습니다. 모바일 고성능 및 중저가용 AP모뎀 통합칩을 공급하고 있으며, 2G~5G를 동시에 지원하는 멀티모드 모뎀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고 사업화하여 5G 기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Foundry는 2019년 세계최초 EUV 공정을 적용한 7나노 제품을 성공적으로 출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2020년 5나노ㆍ4나노 개발 및 GAA(Gate All Around)기술을 적용한 3나노 등 차세대 공정도 적기 개발하여 시장을 선도할 계획입니다. 또한, CIS, DDI, PMIC 등 공정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여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2. 디스플레이 
2-1. 산업의 특성 

디스플레이는 각종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화면표시장치를 지칭합니다. 표시방식 측면에서 표시소자가 능동적으로 구동되는(Active Matrix) 방식이 주류이며,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와 TFT-LCD(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가 이에 해당합니다.  OLED는 스스로 빛을 내는 유기물질을 이용한 화면표시장치로, 명암비와 색일치율이 높고 색재현 범위가 넓으며 응답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장점을 바탕으로 OLED 디스플레이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인터넷 사용 등 디스플레이의 성능이 중시되는 스마트폰 시장에서 채용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OLED로 고해상도의 장수명 패널을 구현하는 것에 대해 시장의 큰 우려가 있었으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여 시장을 발전시켜 왔습니다. OLED는 LCD 디스플레이의 단점을 극복할 뿐만 아니라, 앞으로 Foldable, Rollable, Automotive 등 다른 응용처로 확대 적용이 가능하며 앞으로 시장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TFT-LCD는 액정을 이용한 화면표시장치로서, 가볍고 얇으면서도 높은 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어, 휴대성이 강조되는 휴대전화에서부터 높은 해상도와 밝기를 요구하는 대형 TV까지 응용처가 매우 다양합니다. 대형 TFT-LCD 산업은 노트북을 시작으로 모니터, TV 순서로 시장이 급속히 성장하여 왔으나, 보급률이 크게 높아짐에 따라 성장률은 둔화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2. 국내외 시장여건
코로나19(COVID-19)의 전 세계 확산에 따른 소비 심리 위축과 업체 간 경쟁 심화 등으로 시장 내 불확실성이 증가하여, 주력 제품인 스마트폰용 디스플레이의 2020년 시장 규모는 14.4억대(TFT-LCD 9.2억대, OLED 5.2억대) 수준으로 전년 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다만, 스마트폰 패널 내 OLED 비중은 2019년 30%에서 2020년 36%로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한편, 대형 LCD 패널의 판가 하락세는 다소 진정되었으나, 국제 정세 불안 및 스포츠 이벤트 차질 등으로 수요 정체가 지속할 것으로 우려됩니다.

2-3. 영업의 개황 
2007년 세계 최초로 OLED 제품의 상용화에 성공한 이후 현재까지 중소형 OLED 시장에서 독보적인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스마트폰 외에도 Foldable, Tablet, Watch, Notebook, Automotive 등으로 제품군을 다각화하여 명실상부한 OLED 디스플레이의 선두 업체로 자리매김하였습니다. Flexible OLED와 Rigid OLED 패널을 통해 프리미엄부터 보급형 스마트폰까지 최적의 제품 포트폴리오를 구축하였으며, 차별화된 기능과 디자인의 제품을 지속적으로 출시하여 시장으로부터 업계 최고의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OLED 패널 시장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차별화된 제품 성능 및 디자인을 바탕으로 소비자의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폴더블ㆍIT 등 신제품 시장을 확대할 것입니다.

삼성의 반도체 투자!

 


Harman(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부문

커넥티드카 시스템, 오디오비디오 제품, 프로페셔널솔루션 및 커넥티드 서비스 사업 분야에서 전 세계 자동차 제조사, 소비자 및 기업을 대상 고객으로 커넥티드 제품과 솔루션을 디자인하고 개발하는 등 전장 부품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주요시장에서 널리 알려진 브랜드와 다양한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으며, 자체적인 개발 또는 지속적인 전략적 인수를 통해 각 사업 분야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더보기

1. 산업의 특성
전장부품 산업(디지털 콕핏, 텔레메틱스 등)과 연관성이 높은 자동차의 2020년 Global 생산량은 전년 대비 16~18% 감소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하지만, 최근 수년간 자동차 산업 내에서 커넥티비티와 엔터테인먼트에 대한 수요는 증가해 왔습니다. 자동차 제조사가 자율주행 자동차와 공유 모빌리티를 두 축으로 기술발전의 선두에 서는 것을 지향하면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소비자 오디오 산업(커넥티드 홈 , 헤드폰, 스마트 오디오 등)은 2023년까지 연평균 약 4%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프로페셔널 오디오산업(상업용 및 대규모 공연장에서의 오디오, 조명, 비디오ㆍ컨트롤 솔루션 등)은 지난 5년간 연간 약 5~6% 성장했습니다. 커넥티드 홈과 스마트 오디오에서의 기술혁신 결과로 산업의 수요가 많이 증가해왔으며, 세계적인 성장 기조 속에 이 분야의 기술이 지속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이러한  수요 증가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디지털 콕핏(Digital Cockpit)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등을 통해 안전한 운전 환경을 제공하는 디지털 전장 부품

2. 국내외 시장여건 
전장부품, 소비자ㆍ프로페셔널 오디오 시장은 경쟁이 매우 심한 가운데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전장부품 산업의 커넥티드카 분야에는 자동차 제조사와 협력하는 여러 회사(Alpine, Aptiv, Continental, Mitsubishi, Panasonic 등)가 있습니다. 시장은 지속적으로 커넥티드카 분야에서 자동차 제조사에 자율주행 등 가장 앞선 기술을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어 이 분야는 현재 주요 업체와 신규 업체 간 경쟁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리고 카오디오 시스템 분야에서도 주요 업체(Bose, Pioneer, Panasonic) 간 경쟁이 매우 치열합니다. 이 분야는 지속적인 기술 발전이 예상되며, 여러 카오디오 업체가 다양한 음향관리 솔루션 개발 등으로 차별화해 나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소비자 오디오 시장은 상대적으로 시장점유율 집중도가 낮으며 소수의 선도 업체(Amazon, Beats, Bose, Ultimate Ears 등)가 있습니다. 특히 커넥티드홈과 스마트스피커 제품이 시장을 계속 포화 상태로 만들고 있기 때문에 다른 산업에서 진입하는 새로운 업체와 기존 업체 간 경쟁 상황이 향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프로페셔널 오디오 시장은 제품 종류에 따라 세분화되어 있고 제품의 응용방식에 따라 다양한 업체가 진출한 상태입니다. QSC와 Yamaha는 프로페셔널 산업 내에서 널리 알려진 선도업체입니다. 향후 현재 동 산업 내 진출업체 간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이며 커넥티드홈과 스마트 스피커 제품의 대중화에 따라 서비스 등 다른 산업 분야로부터의 신규 진출 업체로 인한 경쟁은 치열해질 것입니다.

3. 영업의 개황 
Harman 부문은 전장부품 시장에서 선도업체의 위상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대량판매 시장에서부터 고급특화시장에 걸쳐 차량에 지속적으로 폭넓고 다양한 브랜드를 활용하는 한편, Harman 브랜드에 부합하는 품질수준을 유지할 계획입니다. 더불어, 카오디오와 커넥티비티 분야에서 끊임없이 혁신에 집중하는 것은 자동차 제조사와의 공존을 견고히 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추가적으로 선도기술인 OTA(Over the Air)와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통해 커넥티드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것입니다.
자동차시장에서의 여러 성공요인은 소비자ㆍ프로페셔널 오디오 시장에서도 유사하게 적용될 것입니다. 그래미상 3회, 아카데미상 2회 등을 수상한 바와 같이 여러 Harman 브랜드는 일상적인 소비자와 음악 애호가 사이에서 명성을 쌓아왔습니다. 무선 스마트 스피커와 같은 전도 유망한 분야에서 신제품을 제공하는 것은 신규 고객을 유인함과 동시에 브랜드 평판을 더욱 강화하는데 지속적으로 도움이 될 것입니다. 
2020년 코로나19(COVID-19)의 전 세계 확산으로 인해 자동차의 생산 중단, 소비 유동인구의 감소, 소매점의 영업 중단 등 부정적인 영업 환경이 초래되었습니다. 특히, Harman 부문의 프로페셔널 오디오 솔루션 사업은 대규모 모임 및 이벤트 축소 등으로 인해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불안정한 영업 환경에서 임직원, 거래처 및 협력업체의 안전 및 건강에 만전을 기하고 있으며, 마케팅 활동 축소 등을 통한 비용 효율화 조치를 하고 있습니다.


2020년 삼성전자 1분기 매출은 CE 부문이 10조 1,550억원(18.4%), IM 부문이 26조 41억원(47.0%)이며, 반도체 사업이 17조 6,443억원(31.9%), 디스플레이 사업이 6조 5,881억원(11.9%) 등 DS 부문이 약 43.6% 수준입니다. Harman 부문은 2조 1,013억원(3.8%)입니다.

2020년 삼성전자 1분기 영업이익은 CE 부문이 4,653억원으로 전체이익의 7.2%, IM 부문이 2조 6,496억원으로 전체이익의 41.1%를 차지하며, DS 부문이 전체이익의 57.7%(반도체 61.9%, 디스플레이 △4.4%)인 3조 7,198억원을 달성하였습니다. Harman 부문은 △1,876억원으로 전체이익의 2.9% 입니다.


삼성전자의 판매전략은?

1. 스마트 제품 등 프리미엄 제품을 중심으로 한 시장 우위 강화
2. 브랜드, 제품, 서비스를 통해 고객에게 차별화된 가치 제공 
3. 고객ㆍ시장 중심의 수요 촉발 마케팅 강화


삼성전자의 주요매출처는?

2020년 1분기 기준으로 주요 매출처는 Apple, AT&T, Deutsche Telekom, Softbank, Verizon 등 입니다. 주요 5대 매출처에 대한 매출 비중은 전체 매출액 대비 약 13% 수준입니다.


삼성전자 투자하면 좋을까?

지난 20년간 삼성전자 주식 시가총액은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17년/2018년 20%를 유지하던 ROE가 2019년은 10% 수준으로 떨어져 자기자본 이익이 감소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10%~20%를 유지하는 것만으로도 훌륭한 기업이라고 생각되어지는데... 어떻게 생각들 하시는지요?

저는 부동의 대한민국 1등 기업 그리고 여러 기술적 혁신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삼성전자는 계속해서 발전할 것이라고 믿습니다. 


본 포스트는 2020년 5월 15일 전자공시시스템의 분기보고서에서 발췌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허니입니다. 오늘은 [C 언어 모듈화 프로그래밍]에 대해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공부하시는 모든 학생과 연구원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며 언제든지 질문은 환영입니다.


23장. 모듈화 프로그래밍.pptx
0.48MB



C 언어란?
모듈화 프로그래밍
23.1.  프로그래밍의 모듈화
• 모듈(module)이란 무엇인가? 
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의 일부
 관련된 데이터와 함수들이 묶여서 모듈을 형성한다. 
 파일 단위로 나뉘는 것이 보통
• 모듈화 프로그래밍
 기능별로 파일을 나눠가며 프로그래밍하는 것
 유지 보수성이 좋아진다. 
• 파일의 분할 및 컴파일
 파일을 나눌지라도 완전히 독립되는 것은 아니다.
 파일이 나뉘어도 상호 참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전역 변수 및 전역 함수로 제한된다.
• 외부 접근 금지
 static 키워드에 의한 접근의 제한
• 링크에 대한 이해
 링크라는 이름이 의미하는 것처럼 연결에 관련된 작업을 한다. 
 선언된 함수의 정의를 찾아서 연결시켜 주는 작업 (여기서 말하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다양한 의미로 사용)
23.2. 헤더 파일의 구현과 유용성
• 헤더 파일의 포함이 지니는 의미
 전처리기에 의해 하나의 파일을 다른 하나의 파일에 포함시키는 작업
• 헤더 파일 포함 방법
• 헤더 파일의 정의 방법 및 유용성
 함수 및 변수의 extern 선언의 간략화
 파일 변경 최소화! 
23.3.  조건부 컴파일
• #if, #elif, #else, #endif 기반 조건부 컴파일
• 헤더 파일 포함 관계에서 발생하는 문제
 하나의 헤더 파일을 두 번 이상 포함!
 이는 중복해서 함수가 정의되거나, 변수가 선언되는 문제점
 조건부 컴파일로 문제 해결!
• #ifndef, #endif 기반 조건부 컴파일

+ Recent posts